㈜한진이 2022년 2분기 경영실적을 잠정 집계한 결과 연결 누계 기준 매출액은 1조 4,131억원, 영업이익은 642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2.5%, 56.6% 증가했다. 특히, ㈜한진은 올해를 새로운 도약의 원년으로 삼아 2022년 경영목표인 매출 2조 6,640억원, 영업이익 1,115억원 달성은 물론, 창업 80주년인 2025년까지 매출 4조 5,000억원, 영업이익 2,000억원을 달성하며..
미국 소비 수요 부진을 우려하는 분석이 쏟아지고 있는 가운데에도, 미국 대부분의 항만들은 늘어나는 대기 선박으로 인해 혼잡도가 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최근 Marine Traffic 선박 데이터 추적 자료 및 캘리포니아항만 당국의 선박 대기열 분석에 따르면, 서부항만의 선박 대기가 최고 수준보다는 낮아졌지만, 동부해안을 포함하는 북미 전체 해안에서 대기중인 선박은 125척..
말레이시아 국적항공사인 Raya Airway는 미래 화물기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방편으로, 네로우바디 여객기인 A320기종의 화물 개조기를 임차해 사용할 계획이다. 이는 ST엔지니어링과 에어버스의 합작 회사인 Elbe Flugzeugwerke(EFW)과 제휴를 통해 A321 P2F 2대와 A320P2F 2 대 등 총 4대로, 1호기는 올 4분기내에 도입 운용하게 될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Raya는 현재 중국..
독일계 글로벌 포워더인 Kuehne+Nagel의 대주주인 Klaus-Michael Kuehne는 최근 독일 국적항공사인 Lufthansa의 주식을 더 사드리면서, 15%까지 늘려 항공사의 최대 주주로 등극했다. 이는 루프트한자가 독일 주식 시장 주주공지를 통해 알려졌으며, 지난 7월 5일 기준 Klaus-Michael Kuehne의 지분이 종전 10%에서 정확히 15.1%로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 4월 루프트한자..
국네 최초의 하이브리드 항공사인 에어프리미아가 항공화물 관리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는 IBS의 소프트웨어인 iCargo를 도입 운영하기로 했다. 현재 최신형 와이드바디 B787-9을 운항하고 있는 에어프리미아는 항공화물 비즈니스 확장과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글로벌 첨단 항공화물 관리 솔루션인 iCargo를 도입했다. 이에 따라 에어프리미아는 iCargo의 판매 및 운영 관련 전 제품..
"2022년 작년과 함께 항공화물 시장 역사상 최고의 한해 될 것" 최근 투자은행인 Stifel 선임 분석가인 J Bruce Chan 은 발틱해운거래소(Baltic Exchange)가 발행하는 뉴스레터 컬럼을 통해 최근의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 운임 하락에 대한 원인을 지적했다. Chan 선임 연구원은 다른 시장 분석 전문가와 마찬가지로, 중국의 코로나19 봉쇄 해제로 항공화물 운임이 상승 반..
소규모 항공사- GSA 현 가격구조 적응 어려워 화주들 운임에 대해 “단기 가시성” 요구도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통계 분석 업체인 CLIVE Data Services에 따르면,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 수요는 예상대로(?) 감소세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3월을 시작으로 4월과 5월에 이어 연속 4개월 감소세로, 6월에도 전년동기비 8%가 줄어든 것으로 집계된 것이다. ..
7월 1일부로 미 서부항만 노조 및 사용자간의 계약기간이 종료됐지만, ILWU와 PMA측은 공동성명을 통해 협상을 진행중이며, 항만 가동은 정상 운영될 것이라고 시장을 안심시켰다. 물론 고용계약 만료일 마지막 날까지 미 백악관에 서한을 보내고 미 의회 역시 협상 타결을 촉구하는 정치적 압력(?) 때문인지, 노사 양측은 대화를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지만, 계약 만료 1주일이 지나..
**지난 1일 인천 그랜드 하얏트호텔에서 열린 ‘지상조업 Restart & Recovery 경영진 간담회’에서 인천공항공사 류진형 운영본부장(사진 앞줄 왼쪽에서 4번째)이 IATA 블레어 코웰(Blair Cowles) 아태지역 안전보안실장(사진 왼쪽에서 5번째) 및 간담회에 참석한 지상조업 경영진 등 관계자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인천국제공항공사(사장 김경욱)는 지난 1일부터 오..
글로벌 컨테이너 장비 임대 플랫폼인 Container xChange는 최근 전 세계 평균 체화 및 지체료(D&D) 요금을 조사 발표했는데, 미국 시장 화주들이 가장 높은 수준의 비용을 부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Demurrage & Detention Benchmark 2022”는 2022년중 세계 chle 컨테이너 항구 60곳을 선정, 상위 실적 8개 선사들이 화주들에게 각각 부과한 D&D요금..